Skip to content
Wellbeing Ways
굿네이버 쓰는 삶, 나의 두 번째 소명을 찾아서
Wellbeing Ways

경험으로 채워가는 인생 후반전 웰빙 안내서

  • 홈
  • 굿네이버
  • 정착 서비스
  • 사회복지사의 모든 것
  • 이민의 모든 것
    • MSD
    • IRD
    • 노인 복지
  • 정신 건강
  • 리빙웰
  • 관계
Wellbeing Ways

경험으로 채워가는 인생 후반전 웰빙 안내서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가족 6가지 대처법

굿네이버, 7월 19, 20257월 22, 2025

Table of Contents

Toggle
  •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가 의심이 되나요?
  •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증상들
  • 공황 발작 혹은 공황 장애가 아닐 수도?
  • 당장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할 때
  •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원인
  • 공황 장애 환자 가족 및 친구들 응급처치 및 대처법
    • 침작하세요!
    • 함께 있어 주세요
    • 환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해 주세요
    • 5-4-3-2-1 기법을 사용하세요!
    • 냉수를 권해 보세요
    • 환자를 자극하거나 무시하지 마세요
  • 요약하기
    • 해야 할 일
    • 피해야 할 일
  •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돌봐야 합니다!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가 의심이 되나요?

최근 지식인에 어떤 분이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인지를 물으셨습니다. 사실 공황 발작과 공황 장애는 많이 비슷하지만 공황 발작은 우리가 살면서 한 두번 정도 겪을 수 있는 스트레스성 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제대로 치료되거나, 지속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이 되면 결국 공황 장애로 발전하게 됩니다. 질문자님의 증상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숨 쉬는 게 답답하고, 가슴이 꽉 막힌 느낌이 들어요. 손과 발이 저리기도 하고,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것 같은 기분도 들어요. 속이 울렁거리고, 숨을 크게 쉬어도 시원해지지 않고 계속 답답한 상태가 이어집니다.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을 잊으려고 한참 동안 생각을 비우려고 노력하면, 그제야 조금씩 괜찮아지곤 해요. 단순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마음이 불안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건지, 아니면 공황장애일 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공황장애는 ‘죽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하던데, 저는 그런 극단적인 공포보다는 불안한 마음이 더 크게 느껴져요. 이런 증상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고, 평소에도 우울한 감정을 자주 느끼는 편이에요. 병원에 가본 적은 없어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건 아니지만요.

스트레스나 불안한 감정이 없을 때는 이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 같아요. 이런 증상들도 공황장애에 해당되는 걸까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을 방문해보는 게 좋을까요?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증상들

질문자님의 증상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숨 쉬기 답답함, 가슴이 꽉 막힌 느낌, 손발 저림, 혈액순환이 안 되는 느낌, 속이 울렁거림,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사이 심해지고, 생각을 비우면 조금 나아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불안 장애 또는 스트레스 반응에서 흔히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과 매우 비슷해 봅니다.

공황 발작도 이와 비슷합니다. 스트레스성 공황 발작을 일으키게 되면 어지러움증을 호소하거나 빠르고 얕은 호흡을 하게 됩니다. 숨을 쉬지 못하는 느낌이 생긱고 심하게 몸이 떨기도 합니다. 특히 심장의 통증이 느껴지고 심장 마비가 오는 느낌이라서 가슴을 움켜쥐기도 합니다. 이러한 발작을 일으키게 되면 외부 자극에 반응하기 어렵고, 다른 사람의 말 등이 들려지지 않습니다.

이러한 외적인 증상 외에도, 당사자는 극심한 공포나 압도적인 불안감을 느낍니다. 이러한 증상은 종종 심장마비나 다른 질병의 문제로 오해받기도 합니다. 따라서 가족 분들은 공장 장애의 증상들을 숙지하고 있다가 환자가 증상을 보이면 당황하지 않고 적절하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공황 발작 혹은 공황 장애가 아닐 수도?

앞서 말했듯이 공황 발작이나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의 증상은 심장 마비 증상과 매우 유사합니다. 따라서 정신과적인 진단을 받지 않았고, 처음으로 위에서 말한 증상들을 겪었다면 공황 장애를 먼저 의심하기 보다는 다른 질병인지를 검사받아 봐야 합니다.

실제로 네이버 지식인에서 어떤 분이 공황 장애와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셔서 공황인지를 물은 적이 있습니다. 물론 저는 정신과 의사가 아니기에 공황이다 아니다를 말씀드리지 못했지만, 확실한 것은 공황을 의심하기 보다는 가까운 병원에 가서 심장 질환 및 기타 질환을 먼저 검사받아 보라고 조언을 드렸습니다. 이후, 질문자님께서 답변을 공황이 아니라 갑상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며 감사의 말을 남겼습니다.

당장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할 때

따라서 증상이 공황발작인지, 아니면 다른 의학적 문제로 인한 것인지 확신이 없다면 당장 가까운 병원을 찾아 검사를 보셔야 합니다. 특히나 천식, 심혈관 질환, 당뇨병, 갑상선 기능 향진증이 있거나 그러한 것이 의심이 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정신과 문제는 생명의 촌각을 다투기 보다는 오랜 시간에 걸쳐서 치료가 필요한 것이기에 제일 먼저는 신체적인 질병을 먼저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만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 원인

스트레스성 공황 장애는 결국 아주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낯선 환경에 노출이 되는 경우,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령 직장내 심한 괴롭힘, 갑질, 학폭을 당하는 경우 이러한 공황이 올 수 있습니다. 공황 발작(panic attack)을 반복적으로 겪는 경우 결국 공황 장애(panic disorder)로 발전하게 됩니다. 히자만 불안 장애가 없는 사람에게도 공황 발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카페인 섭취, 앞서 엎급했던 신체적인 질병, 격렬한 운동을 하게 된 경우 공황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처법 6가지

공황 장애 환자 가족 및 친구들 응급처치 및 대처법

침작하세요!

공황이 왔을 때는 환자가 심히 불안에 떨고 극심한 공포감에 사로집하게 됩니다. 이 때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이 옆에서 더 불안해 하거나, 소리를 치게 되면 환자는 더 큰 고통을 겪게 됩니다. 가능한 한 침착해야 합니다.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면, 환자는 심리적으로 안정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당장 누군가가 심장 마비를 호소하고, 몸을 심하게 떨고 있는데, 그 상황에서 침착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이 때 쉼 호흡을 크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물론 공황을 겪고 있는 분도 함께 호흡을 하는 것도 좋지만, 먼저 내가 심리적을 안정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쉼 호흡을 크게 하세요. 본인이나 환자의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는 그라운딩 기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심리 기법이 공황, 불안 장애, 우울증 등에 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습니다. 자세하기 알고 싶으면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마음이 무너질 때, 나를 붙잡아 주는 기술 – 20가지 그라운딩 (grounding) 기법

공황을 겪고 있는 사람이 조용히 해달라고 하면, 옆에서 아무 말없이 같이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내가 여기 있어” “괜찮아, 조금 있으면 나아질거야” “무서워 하지만, 여기 지금 아주 안전한 곳이야” 하며 환자를 안정시키는 말을 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함께 있어 주세요

공황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 옆에서 함께 있어주는 것은 정말로 큰 도움이 됩니다. 저는 응급실에서 생사를 오가는 환자를 기다리는 가족들을 종종 심리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사실 사회복지사가 해 줄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습니다. 환자의 상태도 자세히 말해주지도 말해 줘서도 안 됩니다. 하지만 제가 하는 일은 그 분들 옆에 있어주는 겁니다. 어떤 말을 해 주기 보다는 등을 토닥여 주거나, 손을 붙잡아 주기도 합니다. 때로는 일정 거리를 두고 기다리도 도움이 필요할 경우 곧바로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이처럼 환자가 내 옆에 누군가가 함께 해 주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세요. 발작이 끝날 때까지 함께 있어 주세요.

환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해 주세요

공황 발작을 겪고 있는 분이 부담과 압박을 느끼지 않게 해야 합니다. 가령 “빨리 마음을 진정시켜” “야! 빨리 정신 차려, 얘가 왜이래?” 하는 등 채근하는 말은 삼가해야 합니다. 또한 길고 복잡한 말을 하거나 질문을 많이 하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대신에 “내가 무얼 도와줄까?” “호흡을 크게 쉬어” “무서워 하지마, 너 정말 괜찮아질꺼야” “이것도 잘 이겨낼 수 있어” 등 짧으면서도 진심으로 걱정하고 위해주는 말을 하세요.

5-4-3-2-1 기법을 사용하세요!

앞서 잠시 언급했던 그라운딩 기법 중에 5-4-3-2-1이라는 심리 기법이 있습니다. 이 기법은 환자가 오감에 집중하도록 하면서 점차적으로 마음을 안정을 찾도록 해 주시는 심리 기법입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환자에게 차례적으로 다음과 같이 물어보는 겁니다. 물론 이 때도 채근하듯이 묻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시간적 여유를 두고 물어야 합니다.

  • 눈에 보이는 것 5가지를 말해줄 수 있어?
  •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 4가지를 뭐야?
  •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 3가지를 말해 줄 수 있어?
  • 지금 냄새 맡을 수 있는 것 2가지를 말해 줘?
  • 지금 느끼는 맛이 뭐야? 한 가지 말해 줘.

냉수를 권해 보세요

저는 종종 응급실에서 심폐 소생실에 있는 환자의 배우자나 부모, 혹은 자녀들을 심리적으로 지원을 할 때 찬물을 권합니다. “이런 심각한 상황에서 냉수를 권하다니?”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찬물을 조금씩 마시느는 것은 마음을 진정시키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물을 마실 때 주의가 분산이 되어, 너무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만 집중하는 것을 피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입 마름이나 탈수로 인한 신체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나 찬물은 부교감 신경계를 자극해서 몸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어떤 연구에 의하면, 찬물에 손이나 얼굴을 담그는 것이 불안 완화나 기분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드라마나 영화에 보면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 혹은 위기의 상황에서 주인공이 욕실이나 화장실에 달려가 세수하는 장면이 종종 나옵니다. 이런 것도 결국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한 행동입니다.

환자를 자극하거나 무시하지 마세요

공황 발작, 특히 공황 장애는 자주 찾아올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자칫 엄살처럼 여길 수 있습니다. 환자 가족이나 친구, 지인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자주 겪다보면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고, 자칫 “에휴, 또 저러내?”하며 체념하게 되는 일도 생깁니다. 공황은 결코 엄살이 될 수 없습니다. 환자가 겪는 공포와 불안은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 감정을 절대로 무시하거나 깎아내려서는 안 됩니다. 가령 “야, 이제 좀 그만 좀 해!”. “도대체 뭐가 무섭다는거야?” “도데체 넌 왜 그러니?” 등의 말은 삼가해야 합니다. 대신에 공감하는 말, 진심으로 환자를 생각해지고 지지해 주는 말을 하세요. 아니면, 그냥 옆에서 함께 있어 주세요.

요약하기

해야 할 일

  • 침착함을 유지하세요
  • 그 사람 곁에 있어 주세요
  • 현재에 집중하도록 도와주세요 (그라운딩 기법 등 활용)
  • 무엇이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피해야 할 일

  • 그 사람을 부끄럽게 만들지 마세요
  •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을 축소하거나 무시하지 마세요
  • 약물이나 술 등을 권하지 마세요
  • 회피 행동(안전 행동)을 조장하지 마세요
    (예: “그냥 그 자리를 피하면 돼” 같은 말은 일시적인 회피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돌봐야 합니다!

누군가가 공황 발작을 일으키는 모습을 바라보드는 것은 너무나 힘든 일입니다. 혼란스럽고,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저는 종종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사랑하는 가족((환자)이 죽어가거나, 중태에 빠져 있는 환자 가족들을 대할 때면 “You need to look after yourself” 하며 자기 자신을 먼저 돌봐야 한다고 말해 주곤 합니다. 최근에는 자신의 엄마가 응급실에서 결국 사망을 했는데, 딸이 눈물을 펑펑 울리며 집으로 돌아가도 되는지 물었습니다. 혹시라도 너무 빨리 집으로 가는 것은 아닌지, 누가 자신을 뭐라고 하면 어떻게 하는지 힘들어 했습니다. (물론 지금 나눈 내용은 비밀 유지로 인해서 각색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비슷한 일을 매일 겪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도 자신을 돌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을 가다듬고,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해야 합니다. 그래야 누군가를 더 잘 보실피고, 도와줄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How to Help Someone Having a Panic Attack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 Symptoms and causes – Mayo Clinic

Managing emotions in panic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alexithymia, emotion regulation, and coping

정신 건강

글 탐색

Previous post
Next post

굿네이버

뉴질랜드의 푸른 자연 속에서 이민자로 20년, 사회복지사로 10년의 기록을 펼칩니다. 삶의 깊은 성찰과 새로운 시작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더 많은 글을 만나 보세요.

  • IRD
  • MSD
  • 관계
  • 노인 복지
  • 리빙웰
  • 사회복지사의 모든 것
  • 이민의 모든 것
  • 정신 건강
  • 2025년 8월
  • 2025년 7월
©2025 Wellbeing Ways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